전체 글203 1 주택자 전세자금 대출 1 주택자 전세자금 대출 1 주택자 전세자금대출의 한도는 최대 3억입니다. 소득구간기준이 없기 때문에 소득이 많으신 분들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전세자금대출은 기본적으로 만기일시상환입니다. 규제지역일 경우에는 kb시세 3억을 초과하면 대출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1 주택자 전세대출이 허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직장이동, 자녀교육, 치료, 요양 등 시-군 간 이동 (서울시나 광역시 내 이동은 인정되지 않음), 보유한 주택의 소재지를 벗어난 경우, 보유주택과 전세주택에서 전세 실거주지에서 대출보증을 허용합니다. 1 주택자 전세자금 대출 은행 1 주택자는 앱 등 비대면 방식으로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없고 은행 창구를 통해 심사를 통과해야만 대출이 가능해집니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2023. 6. 28. 부부공동명의양도세, 확정 일자, 부동산 등기 부부공동명의양도세 부부 공동명의 양도세는 공동명의자 각각에 대해 별도로 계산됩니다. 양도차액 금액이 둘로 나눠지기 때문에 양도차액이 줄어들고 낮은 구간의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양도소득세 절세 효과가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과세금액이 부부 공동명의라면 기본공제를 각각 250만 원씩 받기 때문에 총 500만 원을 공제받을 수 있게 됩니다. 공동명의 공동명의란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공동으로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부부가 함께 주택을 구입하여 두 사람 모두의 이름으로 등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두 사람 모두가 주택의 소유자로서 권리와 의무를 공유합니다. 양도소득금액과 세율 결정 양도소득세는 양도소득 과세표준에 양도세율을 곱하여 결정합니다. 양도소득 과세표준은 양도소득에서 .. 2023. 6. 27. 달러예금, 금투자 달러예금 달러 예금은 해외 통화를 사서 넣어둘 수 있는 은행 계좌를 말하며 일반 계좌와 유사하지만 해외 통화만 넣을 수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국내 은행에서는 달러 예금 상품을 제공하며 금리는 은행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예금보다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달러 예금 장점 달러 예금의 장점 중 하나는 환차익에 따른 세금이 없다는 것입니다. 예금 금리에 더해 환율이 오를 경우 환율에 따른 차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즉 금리 더하기 환차익을 노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에 따라서 환전수수료, 인출수수료가 부과되는데 은행에 따라 우대 수수료율을 90%까지 적용해 주거나 인출수수료가 면제되는 곳도 있으니 비교가 필요합니다. 달러 예금 단점 달러 예금의 단점 중 하나는 환전수수료와 낮은 수수료우대율이 .. 2023. 6. 26. 재형저축, 청년통장 재형저축 재형저축은 재산형성저축의 줄임말로 서민들의 재산형성을 돕기 위해 정책 차원에서 만들어진 저축상품입니다. 2013년에 출시된 근로자 재산형성저축은 최소 7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면 이자소득 등에 대해 전액 비과세 됩니다. 재형저축은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각 은행마다 이자율이 다르므로 여러 은행의 이자율을 비교해 보시고 가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재형저축은 비과세 상품 중 하나입니다. 재형저축 가입 조건 재형저축의 가입조건은 직장인은 연봉 5000만 원 이하 사업자는 한 해 소득이 3500만 원 이하이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소득요건은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가입 후 연봉이 오르거나 소득이 늘더라도 비과세 혜택은 그대로입니다. 재형저축 이자율 재형저축은 이자소득세 14%와 주민.. 2023. 6. 25.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51 다음